2023. 1. 20. 22:35ㆍ주식/주식 용어
- 저자
- 정재호
- 출판
- 모든국민은주주다
- 출판일
- 2017.12.20
PER은 현재 주가가 기업의 현재 가지와 실적 대비 높게 평가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척도입니다.
가치 투자자는 PER를 가장 중요한 척도로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 투자도 PER를 기본 하여서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주식수익률 PER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가수익률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 Price Earnings Ratio이 약자 / P/E 라고 표시
- 현재주가를 1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 즉, 현재 주가 / 1주당 순이익(EPS)
주식의 가격이 주당순이익에 비해 높게 또는 낮게 형성되어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높은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이면 주가이익률(PER)이 높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저평가된 주식을 매수하려면 PER이 낮을수록 좋습니다.
PER의 해석
- 예를 들어 현재 A회사의 주가가 10,000원이고, 1주당 순이익이 1,000원이라고 하면 이 회사의 PER은 10이다.
- B회사의 주가는 5,000원이고, 1주당 순이익이 1,000원 이라고 하면 이 회사의 PER은 5이다.
- 즉, 같은 순이익을 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A회사의 주가가 2배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PER이 높다는 것은 기업이 만드는 주당순이익에 비해 주식 가격이 높다는 것이고
PER이 낮다는 것은 이익에 비해 주식 가격이 낮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PER이 낮은 주식을 보통 저평가되었다, 할인되었다 라고 표현하고 미래에 가격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PER 평가 방법
첫번째 방법)
주식을 매수 후 수익을 얻는 경우는 매수한 주식의 주가가 오르거나 회사에서 지급하는 배당금을 받은 것입니다.
배당금을 많이 받으려면 순이익을 많이 내는 주식을 골라야 하는데 순이익 많은 주식을 고를 때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PER 수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 A 회사 주식 가격 50,000원 B 회사 주식 가격 50,000원으로 동일할 경우
주당 순이익은 A가 5,000원 B가 10,000원 이라고 할 경우
A회사의 PER은 10(50,000÷5,000) B회사의 PER은 5(50,000÷10,000)입니다.
즉 주식 가격이 같을 때 PER이 더 작은 쪽이 주당 순이익이 높다고 할 수 있으며
그렇기 떄문에 PER이 높은 A 주식 보다 PER이 낮은 B회사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배당금을 많이 줄 가능성 높습니다.
두 번째 방법)
가장 쉬운 방법은 동종 업종의 PER과 비교를 하여서 동종업종의 평균 PER이 100 수준인데 내가 투자하고자 하는
기업의 PER이 50이면 저평가되었다고 판단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 주가 1만원,1만 원, 주당 순이익 1,000원인 PER 10배인 A사와 주가가 1만 원, 주당 순이익 5,000원인 PER 2배인 B회사가
있을 경우 어디에 투자를 해야 할까?
주가에 비해 더 많은 이익을 벌고 있는 B사를 선택하는 가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입니다.
단, 주가는 해당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 경쟁력 등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PER 하나로만
주식 가치를 판단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낮은 가격에 매수해서 높은 가격에 매도해야 많은 이익이 생기기 때문에 현재 주가가 낮게 형성되어
미래에 주가가 올라 갈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하며 적정주가를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 PER입니다.
즉 PER은 기업이 내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적정하게 형성되었는지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식 투자 전 PER을 확인하고 그 후 미래 성장성을 고려하는 습관을 길러야 할 것입니다.
'주식 > 주식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PCE 가격 지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1) | 2023.02.25 |
---|---|
주식 용어 - PBR ( 주가 순자산 비율) (0) | 2023.01.26 |
주식 용어 - ROE / ROA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