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배아로 임신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기

2025. 7. 11. 09:58건강

반응형

배우 이시영이 이혼 후 전 남편의 냉동 배아를 이식해 둘째를 임신했다고 밝혀 파장이 있어나고 있습니다. 

이시영은 전 남편의 동의 없이 홀로 시험관 시술을 진행하였으나,  전 남편은 "아빠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라는 입장입니다.

 

그럼 배우 이시영이 진행한 내동 배아로 임신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냉동 배아로 임신 절차 알아보기

 

 

 

1. 기존의 냉동배아 확인

 1)  과거 시험관 아기 시술(IVF) 과정에서 생성한 배아를 냉동해 둔 경우 해당 병원에 보관 여부와 상태를 확인합니다.

 2) 동결 배아는 일반적으로 10년 이상 보관 가능합니다.

 

2. 자궁 상태 확인 및 준비

 1) 자궁내막 검사를 통해 이식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2)호르몬 치료(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를 통해 자궁내막을 배아 이식에 적절한 두께로 조절합니다.

 

3. 냉동배아 해동

 1) 냉동 보관 중인 배아를 해동합니다.

 2) 해동 후 배아의 생존율은 약 90% 이상이며, 생존한 배아만 이식에 사용됩니다.

 

4. 자궁 내 배아 이식 (Embryo Transfer)

 1) 생존한 배아를 자궁에 이식합니다. 통증은 거의 없으며 외래 시술로 진행됩니다.

 2) 이식은 1~2개 배아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쌍둥이 방지를 위해).

 

5. 황체기 지원 및 착상 대기

1) 이식 후 프로게스테론 주사나 질좌제 등을 통해 착상을 돕는 호르몬 치료를 받습니다.

2) 이식 후 약 9~12일 후 임신 여부를 확인합니다(혈액 hCG 검사)

 

 

냉동배아 이식의 장점

 

 

1. 여성 나이와 무관하게 건강한 시가의 배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한 번의 배란 유도만으로 여러 번 이식 시도 가능

3. 자여주기 대비 호르몬 조절이 쉬워 성공률이 높은 편입니다.

 

 

냉동배아 이식 준비시 참고사항

 

 

 

1. 부부 모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 법적/윤리적 동의서 제출)

2. 이식 병원 선택 : 배아를 동결한 병원과 다를 경우 이전 절차 필요

3. 의료보험 적용 여부 : 한국에서는 특정 조건 (난임 진단 등) 시 일부 보험 적용

 

 

냉동배아 이식의 평균 성공률

 

 

 

냉동배아 이식의 성공률은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매우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령대 이식당 임신률 출산률
35세 이하 약 50%~60% 약 40~50%
36~39세 약 40~50% 약 30~40%
40~42세 약 30~40% 약 20~30%
43세 이상 약 10~20% 약 5~10%

 

이는 배아가 동결된 시점의 나이에 따라 더 큰 영향을 받습니다. 

즉 젊은 나이에 냉동한 배아를 나중에 이식해도 높은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냉동배아 이식 성공에 영향을 주는 팁 알아보기

 

 

 

1. 신체적인 준비

 

1) 자궁내막 건강 유지

 ① 자궁내막 두께는 7mm 이상이 이상적입니다.

 ② 혈류 개선 : 하루 20~30분 걷기, 좌욕, 복부 찜질 등

 ③ L-아르기닌, 비타민 E  섭취도 자궁내막 발달에 도움

 

2) 식이요법

 ① 고단백, 저당 식단 권장 (혈당 안정 유지)

 ② 엽산, 아연, 오메가 3, 셀레늄 등이 풍부한 식단 유지

 ③ 카페인, 인스턴트 음식, 트랜스 지방은 피하기

 

 3) 금연 금주

 흡연과 음주는 착상률을 떨어뜨리고 유산 위험을 높입니다.

 

 

2. 정신적인 안정

 

1) 스트레스 관리

 ① 스트레스는 착상과 배아 발달에 악영향을 줍니다.

 ② 명상, 요가, 가벼운 운동, 독서, 취미 활동으로 마음 안정

 

2) 충분한 수면

 매일 7~8시간의 수면을 규칙적으로 취하면 호르몬 균형에 좋습니다.

 

3. 의학적 준비

 

1) 호르몬 조절 철저히

 자궁내막을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치료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정확히 복용해야 합니다.

 

2) 착상 유도 치료 고려

 필요시 면역 조절제, 자궁 내 면역주사, 자궁 내막 긁기술 (Scratch) 등도 병원에서 권할 수 있습니다.

 

3) 한약 / 한방치료는 전문가 상담 후 진행

 자궁혈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호르몬제와 상충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난임 전문 한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냉동배아 착상 증상 체크표

 

 

 

착상 후 임신 여부를 추측할 수 있는 착상 증상 체크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 사람마다 증상은 다르며, 무증상이어도 임신일 수 있으며, 가장 정확한 확인은 혈액 hCG검사입니다.

 

착상 후 증상 체크표 (이식 3일 ~ 12일 사이)

 

증상 설명 체크
착상혈 소량의 갈색 본홍빛 출혈
복부 통증 / 묵직함 아랫배가 당기거나 묵직한 느낌 (착상통)
가슴 통증 / 부풀음 유두 통증, 가슴이 팽팽하거나 예민해진
미열 / 체온 상승 기초체온이 미세하게 0.3~0.5도 상승 유지
피로감 갑자기 졸리고 몸이 무겁게 느껴짐
메스꺼움 / 속 울렁거림 음식 냄새에 민감해지거나 울렁거림
감정 변화 감정 기복이 심하거나 예민해짐
소변 자주 보기 방광 압박으로 잦은 배뇨
두통 호르몬 변화로 인한 가벼운 두통
변비 혹은 설사 장운동 변화로 인한 소화 문제

 

※ 유의 사항

① 착상혈은 전체 임신 여성의 약 20%~30% 정도만 경험을 합니다.

② 증상은 배아 이식 후 5~10일 사이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③ 아무런 증상이 없어도 임신일 가능성은 동일합니다.

④ 임신테스트기는 보통 이식 후 9~12일 이후, 혈액검사는 더 정확합니다.

 

 

착상 후 주별 변화표 알아보기

 

 

 

착상 후 임신이 유지되는 과정은 아주 세밀하게 진행됩니다.

아래표는 배아 이식 후 착상부터 임신초기 (5~8주)까지의 주별 변화표입니다.

주차 시기 신체변화 및 증상 주의사항
0주차 이식당일 이식 후 특별한 증상 없음
자궁 내 배아 자리잡기 시작
안정 및 과격한 활동 피하기
1주차
(이식 3~7일
착상 시기 착상혈(갈색~분홍), 아랫배 묵직함,
미열, 가슴 땡김, 피로감
흡연 음주 절대 금지
질정 주사 등 호르몬 유지
2주차
(이식+9~12일)
착상 완료 몸살 같은 느낌, 유방통,
잦은 소변, 속 울렁임 가능
혈액 hCG 검사로 임식 확인 가능
3주차
(임신 5주차)
아가집(태낭)
보임
가슴이 더욱 예민해짐, 미열
소화불량, 입덧 시작 가능성
초음파로 임신 확인 가능
4주차
(임신 6주차)
태아 심장
뛰시 시작
심한 피로, 입덧 본격화
속쓰림, 가슴 부풀음
첫 정밀 초음파 검사 시기
5주차
(임신 7~8주차)
태아 성장기 태아 크기 1cm 이상
입덧 심화, 감정 기복 커짐
유사 위험 있으므로 안정 최우선

 

 

※ 유의 사항

1. 증상이 없어도 정상 임신일 수 있습니다.

2. 유산 방지 위해 충분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금주 금연은 필수

3. 하혈, 심한 통증, 고열 등 이상 증상은 즉시 병원 방문해야 합니다.

 

반응형